안셀 아담스
안셀 애덤스(Ansel Easton Adams, 1902년 2월 20일 ~ 1984년 4월 22일)는 그의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요세미티 계곡을 찍은 흑백사진 작품들로 유명한 미국의 사진작가이다.
일대기
- 1902년 2월 20일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출생. 피아노 연주자로 교육을 받음.
- 1916년 부모와 함께 요세미티 계곡 여행. 이 때 부모가 사준 박스형 카메라로 사진을 찍음. 상업 사진가 프랭크 데이드맨으로부터 사진을 배우고, 매년 요세미티에서 사진과 등산에 열중함.
- 1920년 프로 피아니스트를 목표함. 요세미티 공원 시에라 클럽(Sierra Club, 미국의 환경단체) 본부의 자연감시원이 되다.
- 1927년 후에 아담스의 후계자가 되는 알버트 벤다를 만나다. 산악사진집 출판.
- 1928년 시에라 클럽 소속의 사진가가 된다. 버지니아 베스트와 결혼.
- 1930년 사진가 폴 스트랜드와 만나다. 사진가가 될 결심을 하다.
- 1932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초의 개인전 개최. ‘f64 그룹’ 결성.
- 1933년 샌프란시스코에 안셀 애덤스 갤러리를 열다.
- 1935년 『Making a Photography』출판.
- 1936년 개인전 ‘An American Place' 개최
- 1940년 현대 미술관 사진부 신설에 협력, 차장으로 취임.
- 1944년 1943년부터 강제격리 수용소에 수용된 일본계 미국인을 촬영한 사진집, 『Born Free and Equal』출판
- 1946년 캘리포니아 미술학교에 최초로 사진학과 창설.
- 1949년 폴라로이드 회사의 고문으로 재직.
- 1955년 매년 6월에 요세미티 계곡에서 워크숍 개최.
- 1961년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 수여
- 1968년 미국 내무성으로부터 환경 보존상 수상.
- 1980년 카터 대통령으로부터 자유의 훈장을 받음.
- 1984년 5월에 심장병으로 타계.
1.아담스의 사진기법과 작품분석
그의 사진기법은 모티브(주제)의 단순화함과 동시에 일구월심 영원불멸의 대상으로 보며, 손으로 어루만지는 것 같은 애정으로 세부(디테일)를 묘사하고, 장인기질을 발휘하여 이상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고도의 기술을 구사했다.
극히 섬세하면서도 통일성을 보여주는 아담스 작품의 핵심은 빛을 다루는 솜씨 중에서도 잿빛을 구사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으로 하여금 피사체를 능가하게 한 것은 그의 감수성과 어울려 장면을 "형상화"하는 힘이다. 그의 예술에서 아주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완벽한 인화술은 거의 헌신적인 경지에 이를 정도로 고된 작업이라고 주위 사람들이 전한다.
아담스는 자기가 몇 년씩이나 사용했던 필름을 사진으로 인화하는데도 몇 시간 또는 며칠씩 걸리는 공을 들인다. 부득이 인화기술자가 되어 자기 작품을 직접 인화했던 그는 자신의 기술이 꾸준히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하였고 따라서 같은 필름에서 나온 작품이라도 처음보다 나중에 인화한 것을 더 좋아했다.
그가 사용하는 카메라는 대체로 큰 사이즈의 것으로 4x5, 5x7, 8x10이 였으며, 렌즈는 주로 장초점이였고, 선예감을 위해서 조리개는 극소상태로 하였으며, 노광시간과 현상처리는 치밀히 계산되어 대상의 중량감, 질감 그리고 박진감을 표출하는데 신경을 쏟았다.
2. F-64 Group
1932년 '에드워드 웨스턴'의 인물 및 그 작품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다수의 청년 사진가들이 [F-64 Gruop]을 조직했다.
광학적 용어를 그 이름으로 내건 이유는, 그들이 전경 및 후경 모두를 최대한 또렷한 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조리개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정회원들은 안셀 아담스, 이모겐 커닝험, 존 폴 에드워드, 소냐 노스코비악, 헨리 스위프크, 윌라드 반 다이크, 에드워드 웨스턴은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면 세세한 점에 있어서까지 교조적이라고 생각될 미학을 형성시켰다.
그들에게 있어서 어떤 부류의 소재를 다룬 사진이던 간에 모든 세부에 정확하고 예리하게 초점이 맞춰지지 않은 것이나, 광택 있는 인화지 위에 밀착 인화되지 않았거나, 흰 대지 위에 붙여지지 않았거나, 주제의 선택에 있어 어떤 수공적 작업을 기피하거나, 리얼리티를 회피하는 것들은 '순수하지 못한' 것이었다.
이들의 경향은 당시 캘리포니아에서 유행하던 사진가들의 연약하고 감상적인 스타일에 대한 격렬한 저항이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윌리엄 모어텐슨이 손으로 채색한 일회품이고 너무나 감상적이며 달콤하고 관능적인 사진이 그 대표적 표적이었다.
1932년 샌프란시스코의 드영 기념미술관은 [F-64 Group]의 창립전을 개최하였다. 그 후 몇 년간 이 비공식적 그룹은 미국에 있어서 가장 진보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 그룹의 해체 이후로도 그 영향은 지속되었고, [F-64 Group]는 순수파 사진을 대변하는 편리한 상표가 되었으며 원래 그 그룹과 관계를 맺은 적도 없는 사진가들에게도 적용되었다.
3. 존 시스템
아담스는 모든 유형의 카메라를 사용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기법들을 시험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독자적 기법 'Zoon system'과 더불어 노출 및 현상을 결정하는데에 있어 아주 창의적이고 실제적인 기준을 확립했다. '감광도의 원리(Sendsitometric Principles)에 바탕을 두었던 그 기준은 사진가들에게 사진재료를 정확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아담스는 우선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개의 변수들의 상호관계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사진적 감광유제의 특성을 -실험실의 실험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진가 자신의 작업장비를 통하여-통달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다
(1)음화용 감광유제의 감광도
(2)노출시 빛의 양
(3)피사체의 밝기
(4)현상, 인화과정
이 정보로부터 사진가는 자신의 음화에서 하나의 음영의 분위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른 피사체의 밝기와 그 음영효과에 관해서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담스는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빛과 그림자의 무한한 점증적 변화의 폭을 10단계로 나눈다. 즉 0단계는 검은 색상이며, 9단계는 흰 색상이다. 이 두 개의 양극사이에 회색층의 여덟단계가 있는데, 5단계는 객관적 측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관적 판단에 따라 '중간'이 되며, 그 다음 6단계는 조명된 피부의 평균적인 밝기와 느낌을 사진가에게 전달해 주는 명도이다. 광전자식 노출계를 사용하여 아담스는 그가 촬영하는 장면의 다양한 부분들의 밝기를 측정한다.
사진가는 이 측정치를 현상과정에 연관시킴으로서 최종적 인화지 위에 나타나게 될 명도의 모든 단계를 머리속에 그려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음악가가 악기를 다루는 일에 비교 할 만하다. 어림짐작의 작업은 폐기되며 사진가는 그의 작업결과가 기술적으로 뛰어날 뿐 아니라, 대상에 대한 그 나름의 주관적 해석을 구체화시킬 것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기 때문에 심미적 문제에 정신을 집중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성취에 그의 전 생애에 걸친 지상의 야생적 지역과의 깊은 정신적 교감을 덧붙여, 아담스는 서부와 알래스카의 웅대한 모습을 재현했다.
4. 아담스의 사진론
나는 "위대한 사진이란 어떤 것인가?" 하는 질문을 여러번 받아왔다.
말이나 글로써가 아니라 위대한 사진을 직접 보여주는 것이 가장 좋은 대답이 될 것이다. 그러나 종종 언어적 정의가 필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싶다.
[위대한 사진이란 가장 깊은 의미에서 피사체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완전한 표현이고, 그럼으로써 삶 전체에 대하여 느끼는 감정의 진정한 표현이다. 그리고 느낌의 표현은 매체에 대한 이해와 헌신에 의해 좌우된다. 즉 그것은 창조와 생산조건하에서 가능한 한 궁극적인 명확성과 완벽성의 표현이다]. 그럼으로써 내가 불필요하게 복잡한 기법이나 표현에 대해 참지 못하는 이유가 설명될 것이다. 내가 렌즈를 선호하는 것은 가장 훌륭한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이고, 카메라를 선호하는 것은 렌즈의 기능을 보완해 주기 때문이며, 재료를 선호하는 것은 이미지의 질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내가 매끈한 인화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 인화지가 최상의 이미지를 명확하고 훌륭하게 표현해 주기 때문이고, 인화지를 순수한 카드에 붙여 작업하는 이유는 어떤 '까다로움'도 사진으로부터 제거되고 인화지를 희석시키기 때문이다.
내가 나의 사진을 다시 손질하거나 조작하지 않는 이유는 직접적인 시각적, 회화적 이미지가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내가 매체의 적절한 조정기구를 이용하는 것은 오로지 사진적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이다. 통제를 거부하는 경직된 의미에서의 순수주의는 오류이다. 노출, 현상, 인화의 논리적 조정이 사진적 특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핵심적 요소이다. 닷징에 의한 색조조정, 스포팅에 의한 명백한 결함의 제거는 작업에 있어서 완전히 합당한 요소이다.
작업과정의 최종 결과물이 사진적인 한 모두 정당하다. 그러나 사진에서 애칭이나 석판화 또는 다른 그래픽 매체의 '느낌'이 날때는 그것이 사진으로서의 자격이 있는지 심히 의심스럽다. -그것은 사진적인 특성을 가진 회화가 의심스러운 것과 마찬가지이다- 렌즈의 놀라울 정도로 아름다운 표현력은 모든 측면에서 가장 우호적인 대우를 받을 가치가 있다.
안셀 아담스는 근대사진에 있어서 풍경사진의 원조적 존재이다. 풍경사진이 오랜 기간 회화적 양식의 규범에 사로잡혀 있던 것을 그가 사진표현으로서의 독창적인 미로 새롭게 개화시킨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을것이다.
<칼라사진>
'아름다운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ntastic Drone Photos (0) | 2017.09.12 |
---|---|
신비스런 풍경들 (0) | 2017.09.11 |
처참한 중국지진의 현장 (0) | 2017.09.06 |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마을 (0) | 2017.09.05 |
세계의 창 22회 (0) | 201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