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소년과의 약속/ 許浚 先生 語錄

自由人 2016. 9. 14. 05:59




소년과의 약속/ 許浚 先生 語錄


소년과의 약속

<p>
독일의 역사학자였던 랑케가 산책하던 중 동네 골목에서 한 소년이 울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우유배달을 하는 소년이었는데 실수로 넘어지는 바람에 우유병을 통째로 깨뜨린 것이었습니다.
소년은 깨진 우유를 배상해야 한다는 걱정에 그 자리에 털썩 주저앉아 엉엉 울고 있었던 것입니다.
랑케는 울고 있는 소년에게 다가가 말했습니다.
"얘야, 걱정하지 말아라. 지금은 내가 돈을 안 가져와서 줄 수 없다만
</p><p>내일 이 시간에 여기 나오면 내가 대신 배상해주마."
집으로 돌아온 랑케는 한 자선사업가가 보낸 편지를 받았습니다.
편지 내용은 역사학 연구비로 거액을 후원하고 싶으니 내일 당장 만나자는 것이었습니다.
랑케는 너무 기뻐서 어쩔 줄 몰랐지만, 순간 소년과의 약속을 떠올렸습니다.
그 자선사업가를 만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먼 길을 떠나야 했기 때문에
</p><p>소년과의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랑케는 망설임 없이 자선사업가에게 다른 중요한 약속이 있어 만날 수 없다며 편지를 써서 보냈습니다.
랑케는 큰 손해를 감수하면서 소년과의 약속을 지켰습니다.
랑케의 편지를 받은 자선사업가는 순간 상당히 불쾌했지만
</p><p>전후 사정을 알게 된 후에는 더욱 랑케를 신뢰하게 되었고,
그에게 처음 제안했던 후원금 액수보다 몇 배나 더 많은 후원금을 보냈습니다.
랑케에게는 역사학 연구보다 한 소년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어느 것보다 더 소중했던 것입니다.
눈앞의 커다란 이익을 저버리면서까지 약속을 소중히 지켰기에 소년은 절망 속에서 희망을 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자선사업가는 랑케의 더욱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이 작은 약속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따뜻한 세상이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p>

 

                                         許浚 先生 語錄

1. 곡기(穀氣)가 원기(元氣)를 이기면 살이 찌게 되며 장수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원기가 곡기를 이기면  살은 찌지 않고 장수한다.

2. 나라를 다스리는 어진 재상이 되지 못할 바에는 사람과 병을 다스리는 명의가 되겠다.

3. 5가지 맛 중에서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은 소금이다.

   ​그러나 되도록 적게, 가능하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4. 배는 덥게, 머리는 차게.

5. 병도 긴 눈으로 보면 하나의 수양(修養)이다.

    병이 생겼을 때, 남자인 경우에는 관계를 과도하였기 때문이 아닌가를 살피고,

    여자이면 생리상태와 임신 여부를 따져야 하느니라.

6.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다. 수명이 본래 4만3천2백(43,200) 여일, 약 120세이다.

7. 사람은 언제나 침을 삼키면  장수하며 얼굴에 광택이 생긴다.

8. 사람의 몸은 한 나라와 같으니라.

    사람이 40세 이하일 때 제멋대로 놀면, 40세 후에 갑자기 기력이 쇠퇴하기 시작함을 느끼게 된다.

    쇠퇴가 시작되면 여러 가지 병이 벌떼처럼 일어나기 시작한다.

     손을 쓰지 않고 오래 내버려두면 드디어 구해낼 수 없게 된다.

9. 사람이 허심탄회(虛心坦懷)하게 되면 천지간의 도(道)와 합치되는 것이요, 야심이 있으면 도에서 멀어진다.

10. 생각이 많으면 신경이 약해지고, 염려가 많으면 뜻이 흩어지며, 욕심이 많으면 뜻이 혼미해지고

       일이 많으면 과로하게 되고, 말을 많이 하면 기가 적어지고,

       웃음이 많으면 내장이 상하고, 근심이 많으면 마음이 불안하며,

       지나치게 즐기면 뜻이 넘치고, 기쁨이 지나치면 착란에 빠지고,

       노여움이 많으면 모든 혈액이 고르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이 많으면 정신이 헛갈려 올바르지 못하고,

       미워하는 것이 많으면 초췌하고 즐거움이 없다.

11. 소금 : 서북인은 적게 먹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병이 적으나,

               동남인은 짠 것을 즐겨 먹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 병이 많다.

12. 술에 취했을 때는 관계를 하여서는 안 된다.

      경할 때에는 얼굴빛이 검게 되고 해소증이 생기는 정도이지만,

      ​심할 경우에는 내장 기능이 망가져서 수명이 짧아진다.

13. 술이 취했을 때는 마차를 달리거나, 높고 낮은 곳을 뛰어넘어서는 안 된다.

14. 신맛의 물질은 간에 작용하고, 매운 것은 폐에, 쓴 것은 심장에, 짠 것은 신장에, 단 것은 비장에 각각 작용한다.

15. 아직 생기지 않은 병을 미리 다스린다.

      양생법(養生法)은 몸에 손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이 장수하는 방법이니라.

16. 옛날 진인(眞人)이 있어 말하되 언제나 침을 땅에 뱉지 않는 습성을 지녀야 하며,

      무릇 입 속의 침은 금장옥례(金漿玉醴)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소중한 것이며,

      하루 종일 밖으로 뱉지 않고 계속 삼키면 사람의 정기가 몸 속에 보존되어 얼굴에 광택이 생긴다.

17. 우유죽 : 우유 한 되(한 홉)에 쌀을 조금 넣어 끓여  죽을 쑤어 상복하면 노인 건강에 가장 좋으니라.

18.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는 대신, 웃으면 눈물이 나고 콧물이 많아지고 귀가 울리고,

       밥을 먹을 때는 침이 말라 괴로운데, 자려고 누우면  침이 흘러넘치고,

      소변도 모르는 사이에 실수하게 되고 대변은 변비 또는 설사를 하여,

      낮에는 졸음이 많으나 밤에는 말똥말똥 잠을 못 이루는 것이 노인병이니라.

19. 60세가 되면 폐정(閉精)하고 배설하지 말아야 한다.

      회갑 때쯤 되면 누구나 다 손자 손녀를 갖게 마련이다.

      따라서 성행위도 필요 없게 되는 것이 자연적 순리로 되어 있다. 정력(精力)은 인체의 근본이니라.

20. 지금의 의사는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은 고칠 줄 모르니 이는 근본을 버리고 말단만 쫓는 격이며,

      그 근원은 캐지 않고 말류만 손질하는 것이다.

21. 추위를 물리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돕고 약 기운을 끌어주는 데는 술처럼 좋은 것이 없다.

22. 취중(醉中)에 정욕을 삼가지 못하고 관계를 하는 것은 정력을 고갈시키고 생명력을 소모시킨다.

23. 하루에 조심할 것은 저녁밥을 지나치게 포식하여서는 안 된다.

      매달 조심할 것은 월말에 월급을 탔다고  술에 대취(大醉)하여서는 안 된다.

      한평생 조심해야 할 것은 밤에 불을 켜놓고  관계를 행하여서 는 안 된다.

24. 한(漢)나라 때의 괴경이라는 사람은 나이가 120세가 되었어도 기력이 아주 왕성하였는데

      매일 아침 침을 삼키고 이를 악물어 마주치게 하기를  열 네 번씩 하였다고 하며,

      이렇게 하는 것을 연정법(鍊精法)이라고 한다.

25. 사람이 있되 침 뱉기를 즐겨 진액이 말라

      몸이 여위었는데 우연히 훌륭한 사람을 만나  회진술을 배워 오래 실천하였더니

      ​체력이 회복되어 윤택하게 되었도다.

- 옮긴 글 -

허 준 (許 浚)
1539(중종 34)∼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의관.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본관은 양천(陽川)이다.